본문 바로가기
돈벌기

이동편균선이란?

by InsightPro 2025. 3. 23.
반응형

 

✅ 1. 이동평균선이란?

특정 기간 동안의 종가 평균을 계산해서 연결한 선이야. 예를 들어 5일 이동평균선은 최근 5일 동안의 종가를 더해서 5로 나눈 값을 매일 계산해서 선으로 이어 놓은 거야.

예시:

  • 5일 종가: 100, 102, 104, 106, 108 → 평균 = (100+102+104+106+108)/5 = 104
  • 다음 날: 102, 104, 106, 108, 110 → 평균 = (102+104+106+108+110)/5 = 106

이렇게 계속 업데이트되면서 선이 ‘이동’해.


✅ 2. 종류

① 단순 이동평균선 (SMA, Simple Moving Average)

  • 그냥 단순히 평균을 낸 거야.
  • 예: 5일 SMA = 최근 5일 종가의 평균

② 지수 이동평균선 (EMA, Exponential Moving Average)

  • 최근 가격에 더 많은 가중치를 줘.
  • 왜냐면 최근 가격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야.
  • 반응 속도가 SMA보다 빠름. 그래서 단타 트레이더들이 선호함.

✅ 3. 주로 쓰는 기간

이동평균선 종류 의미 용도

5일선 단기 추세 매매 시점 잡을 때
20일선 중기 추세 일반적인 추세 판단
60일선 장기 추세 장기적인 투자 방향 파악
120일, 200일선 매우 장기 경기 흐름 분석

✅ 4. 활용법

① 골든크로스

  •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.
  • 보통 상승 신호로 받아들여져.

② 데드크로스

  •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.
  • 하락 신호로 해석.

③ 지지선/저항선 역할

  • 이동평균선 근처에서 가격이 멈추거나 반등하는 경우 많아.
  • 예: 20일선이 ‘지지선’ 역할 → 주가가 거기서 다시 올라가는 경우

✅ 5. 장점과 단점

장점 단점

추세 파악에 유리 추세가 바뀔 때 반응이 느릴 수 있음
과거 데이터 기반이라 직관적 횡보장에서는 매매 시점이 헷갈릴 수 있음
자동 계산 가능 단독으로 쓰면 오판 가능 (다른 보조지표와 함께 써야 좋음)

 

반응형